안녕하세요, 비니제이입니다 :)
7월 17일은 바로 대한민국의 헌법이 제정된 날인 제헌절입니다.
매년 찾아오는 이 날은 우리나라 역사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는데요,
오늘은 제헌절 뜻과 의미 2025년 제헌절공휴일인지에 대해 함께 알아보려고해요.
✔ 제헌절 뜻
제헌절은 1948년 7월 17일, 대한민국의 헌법이 제정되고 공포된 것을 기념하기 위해 제정된 국경일이에요.
'제헌'이라는 단어 자체가 ‘헌법을 만든다’는 의미를 담고 있죠.
즉, 대한민국의 민주주의가 뿌리내린 날로 볼 수 있어요.
✔ 2025년 제헌절은 공휴일일까?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는 부분인데요.
제헌절은 국경일이지만 공휴일은 아닙니다.
2008년부터 제헌절은 법정 공휴일에서 제외되었기 때문에
2025년에도 제헌절은 출근, 등교 모두 정상이라는거,
잊지마세요~
✔ 제헌절의 역사와 중요성
제헌절은 광복 이후 혼란스러운 사회 속에서
국가 체계를 세우기 위해 제정된 헌법을 기념하는 날이에요.
초대 국회의원 198명이 모여 만든 헌법은
현재 우리가 누리는 자유와 권리의 기초가 되었고,
이후 개헌을 통해 국민 주권이 더욱 강하게 반영되었죠.
✔ 제헌절을 기념하는 방법
- 국기(태극기) 게양
- 헌법 전문 읽기 및 헌법 가치 되새기기
- 역사 관련 다큐멘터리 시청
- 아이들과 함께하는 헌법 교육
✔ 국경일과 공휴일의 차이는?
‘국경일’은 국가적으로 기념하는 날이고,
‘공휴일’은 실제로 쉬는 날을 의미합니다.
제헌절은 국경일이지만 공휴일이 아니므로 혼동하지 마세요!
제헌절은 대한민국 헌법의 시작을 기념하는 중요한 날이에요.
비록 공휴일은 아니지만 그 의미를 되새기는 하루가 되었으면 좋을것 같아요.
반응형
댓글